의궤/궁중연회

제11회 [조선왕조 궁중연회]

만경전 야친찬의(萬慶殿夜饌儀)

고종 정해 진찬의궤(高宗 丁亥 進饌儀軌)에 기록되어 있는
신정왕후(神貞王后; 조대비)의 팔순을 경하하기 위한 연회중
경복궁 만경전에서 밤에 베풀어진 연회를 재현

일시: 2012년 9월 29일 (토) 오후 2:00

장소: 운현궁

주최: 한국전통문화연구원, (주)한국의장

협찬: (주)한글과컴퓨터, 소프트포럼(주), 삼아프로사운드(주), (주)풍산건설

●축사 및 격려사 

김상철(주.한글과컴퓨터 회장)

강창희(국회의장)

혜문스님(문화재 제자리찾기 대표)

●특별출연

대왕대비: 전명자

고종: 이흥구

왕세자: 김원영

여집사: 김경숙

●궁중무용 재현 작품

포구락(抛毬樂), 오양선(五羊仙), 검기무(劍器舞), 춘앵전(春鶯囀) 

1.포구락(抛毬樂)

포구락은 글자 그대로 춤 대열이 편을 나누어 공을 던져 구멍에 넣으며 즐기는 일종의 놀이춤이다. 여기(女妓)나 무동(舞童)이 편을 갈라 노래하고 춤추며 차례로 공을 넣는데, 구멍에 넣으면 상으로 꽃을 주고 못 넣으면 얼굴에 먹점을 찍어준다. 포구락은 1073년인 고려 문종 27년 11월에 교방(敎坊) 여제자(女弟子) 초영(楚英) 등 13인이 새로 전해온 이 춤을 구장기별기(九張機別伎)와 함께 상연(上演)하였다. 이 춤은 고려 문종 때 들어와서 고려와 조선조를 통하여 가장 인기있는 레파토리 중의 하나로 상연되었다.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당악정재 항목에 포구락 정재의 자세한 절차가 전한다.

2.오양선(五羊仙)

오양선은 군왕의 장수를 소망하는 내용의 당악정재(唐樂呈才)로서 고려시대에 발생되었으나 어느 왕조인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 에서 전하는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포구락(抛毬樂), 연화대(蓮花臺) 등과 더불어 대곡(大曲)이며 가무희(歌舞戱)의 형태를 띠고 있다. <고종정해진찬의궤>에는 당나라 때 이군옥이 창포간(菖蒲澗)이라는 시에서 ‘다섯 명의 신선이 다섯 마리의 양을 타고 어느 시대에 이 마을로 내려올까’ 라는 대목이 있는데, 여기서 춤의 이름이 나왔다고 한다.

3.검기무(劍器舞)

여기(女妓) 4명이 전립(戰笠)을 쓰고 전복(戰服)을 입고 검 2자루씩을 가지고 2대로 나뉘어 서로 상대하여 춤을 춘다. 검무에 대한 기록은 신라의 황창랑이라는 7세 소년이 적국인 백제에 들어가 칼춤을 추다가 백제왕을 찔러 죽이고 그 자리에서 죽었으므로 소년을 애도하기 위해 신라인들이 그를 본 딴 가면을 쓰고 춤을 추어 그 영혼을 위로했다는 기록이 <동경잡기(東京雜記)> 풍속조(風俗條)를 비롯한 여러 문헌들에서 발견할 수 있다.

4.춘앵전(春鶯囀)

<고종정해진찬의궤>에는‘무자년에 왕세자께서 지으셨다. 연감유함(淵鑑類函)에 보면 당나라 고종이 꾀꼬리 소리를 듣고 악공 백명달(白命達)에게 그 소리를 모사하게 하였다고 한다. 돗자리 하나를 설치하고 무기(舞妓) 1명이 그 위에 서서 진퇴하고 돌면서도 돗자리 위에서 내려오지 않고 춤을 춘다.’라고 기록되어있다. 춘앵전은 봄날 꾀꼬리가 지저귀는 모습을 독무(獨舞)로 연행하는 정재이다. 문헌에 춘앵전의 기록이 처음 등장하는 시기는 1828년(순조 28)으로 <무자 진작의궤>에 나타난다. 효명세자가 창사 가사를 지었으며 정재 가운데 가장 많은 동작 용어를 쓰고 있으며, 특히 길이 6자의 화문석 위에서 추어야 하는 반면 한없이 느리고 우아한 동작이 특징이다. 복식은 화관(花冠)에 앵삼을 입는다. 누른 빛깔의 앵삼은 꾀꼬리를 상징한다. 

제10회 [조선왕조 궁중연회]

만경전 야진찬의

고종 정해 진찬의궤 高宗 丁亥 進饌儀軌에 기록되어 있는
신정왕후 神貞王后 ; 조대비의 팔순 八旬을 경하하기 위한 연회중
경복궁 만경전에서 밤에 베풀어진 연회를 재현 

일시 : 2009년 8월 26일 (수) 오후 7시 30분
장소 : 국립국악원 예악당 대극장
주최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후원 : 서울문화재단
협찬 : (주)풍산건설

●축사 및 격려사
유인촌 - 문화체육관광부
고흥길 - 제 18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특별출연
대왕대비 - 전명자
고종 - 이은우
왕세자 - 강경포
여집사 - 황연희, 김경숙

●궁중무용 재현 작품
포구락(抛毬樂), 오양선(五羊仙), 선유락(船遊樂)
검기무(劍器舞), 춘앵전(春鶯囀)

제9회 [조선왕조 궁중연회 ]

숙종기해진연의

1719년(숙종45)에 거행된 ‘기해 진연’은 숙종대왕이 59세로 기로소에 들어간 것을 경축하여 

그 해 9월28일 경희궁에서 올린 외진연으로 악공과 무동 등 남자들이 악·가·무(樂·歌·舞)를 

모두 담당한 연회를 『숙종조기해진연의궤』을 바탕으로 재현.

일시: 2008년 10월 25일 (토) 오후 2:00

장소: 경희궁 숭정전

주최: 한국전통문화연구원

후원: (재)서울문화재단, 충청향우회 중앙회

협찬: (주)풍산건설

●축사 및 격려사 

김용래(충청향우회 중앙회 총재)

고흥길(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장)

●특별출연

왕: 최종원

영의정: 최한호, 우의정: 최성웅

치사관: 박태호, 집사관: 김동현

왕세자: 최신일, 왕자: 권기태

●궁중무용 재현 작품

초무(初舞), 아박무(牙拍舞), 향발무(響鈸舞), 무고(舞鼓), 광수무(廣袖舞), 처용무(處容舞

제8회 [조선왕조 궁중연회]

고종 정해 만경전 진찬의 

고종 24년(丁亥,1887) 신정왕후(조대비)의 팔순(八旬)을 경하하기 위해 

경복궁 만경전에서 거행된 연회로 『고종정해만경전진찬의궤』에 기록되어 있는 연향중에 

‘만경전 내진찬’을 재현. 

일시: 2007년 9월 21일 (금) 오후 7:30

장소: 국립국악원 예악당 대극장

주최: 한국전통문화연구원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재청,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협찬: 삼성문화재단,(주)풍산건설

●축사 및 격려사 

김용래(충청향우회 중앙회 총재) 

임덕규(제11대 국회의원)

김종규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단 이사장)

이삼열(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

●특별출연

대왕대비: 이기남, 

왕: 조성하, 왕비: 왕빛나

왕세자: 권기태, 왕세자빈: 이윤서

●궁중무용 재현 작품

몽금척(夢金尺), 보상무(寶相舞),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무산향(舞山香), 선유락(船遊樂)

제7회 [조선왕조 궁중연회]

1848년(헌종 14) 3월에 창경궁의 통명전에서 순조의 비이자 헌종의 조모인 순원왕후(純元王后)의 

육순을 경축하여 베푼 연회이며 ‘헌종 무신 진찬의궤’를 바탕으로 재현한다.


일시 : 2006년 5월 7일 (일) 14:00

장소 : 경희궁 숭정전

주최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후원 : 문화재청,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KBS 한국방송공사

협찬 : 삼성문화재단

●축사 및 격려사

유홍준 - 문화재청 청장

이삼열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

김종규 - 한국박물관협회 회장

●특별출연

대왕대비 - 김창실 

왕 - 이승민, 왕비 - 권미선, 경빈 - 변상아

●궁중무용 재현 작품

향령무(響鈴舞), 보상무(寶相舞), 무고(舞鼓),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관동무(關東舞)

제6회 [조선왕조 궁중연회] 

기사진표리진찬의

'진표리진찬' 은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벌이던 궁중 연회로 '기사진표리진찬의'는 
순조9년(己巳 1809년) 대왕대비였던 혜경궁 홍씨가 관례(성년식)을 올린지 60년을 기념하며

장수를 기원하는 연회이며 '기사진표리진찬의궤'를 바탕으로 재현. 

일시 : 2005년 5월 5일 (일) 14:00
장소 : 경희궁 숭정전
주최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후원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한국전통문화회
협찬 : (주)취영루, (주)서광종합개발

●축사 및 격려사 
이명박 - 서울특별시 시장
김종규 - 한국박물관협회 회장, 문화재위원
         
김천흥 - 중요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 '처용무'  보유자 
           
●특별출연 
왕 - 박태진
대왕대비 - 조선형 
왕대비 - 태현실
왕비 - 신은경 

●궁중무용 재현 작품
처용무(處容舞),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보상무(寶相舞) 

제5회 [외규장각 도서]

[외규장각 도서- 풍정도감의궤/ 어람용, 유일본 /대왕대비전의 진풍정의]

외규장각 도서 중 풍정도감의궤에 기록 되어있는  인조 즉위8년(1630년)에 거행된 진풍정은 대왕대비(인목대비)를 위해 벌인 잔치로서 
왕실의 웃어른에게 예물과 찬품(饌品), 치사(致詞), 악무(樂舞)를 갖추어 
일정한 의식절차에 따라 축하하는 연회를 '풍정도감의궤' 를 바탕으로 재현. 
진풍정(進豊呈)은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등의 용어와 함께 
조선조 궁중예연을 가리키던 용어의 하나이다. 

일시 : 2004년 4월 25일 14:00 조선왕조궁중연회
장소 :  창경궁 명정전
주최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주관 : 田문화예술연구소, 문화기획 집현전
후원 : 문화관광부,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한국전통문화회

●축사 및 격려사 
이명박 - 서울특별시 시장 
송기중 - 규장각 관장, 서울대학교 교수 
김천흥 -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처용무'  보유자 

●특별출연 
왕 - 김형일
대왕대비 - 김영란
왕비 - 전미선
왕세자 - 이승민
왕세자빈 - 전혜민

●궁중무용 재현 작품
헌선도(獻仙桃), 봉래의(鳳來儀), 연화대(蓮花臺), 포구락(抛毬樂), 
향발무(響鈸舞), 처용무(處容舞)

제4회 [조선왕조 궁중연회]

영조 조 갑자 진연의

1744년 10월4일에 거행된 '영조 갑자 진연' 은 영조대왕이 51세의 나이에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게 된 것을 경하하는 진연으로 18세기 공연사, 복식사, 행정제도사적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들이 수록되어있는 영조조 갑자(1774) 진연 의궤를 중심으로 재현.

일시 : 2003년 9월 21일 14:00
장소 : 경희궁 숭정전
주최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후원 : 문화관광부, 서울특별시, 문예진흥원, (사)궁중음식 연구원. 한국전통문화회
협찬 : 삼성생명, 한국전기안전공사

 ●축사 및 격려사 
이명박 - 서울특별시 시장
김천흥 - 중요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 '처용무' 기능보유자

 ●의례연출 - 김재형(용의눈물·여인천하 연출) 

●특별출연
왕 - 전무송
대왕대비 - 이보희
왕비 - 김영란
왕세자 - 정태우
왕세자빈 - 고도영

●궁중무용 재현 작품
헌선도(獻仙桃), 연화대(蓮花臺), 아박무(牙拍舞), 향발무(響   舞), 처용무(處容舞) 

제3회 [궁중연회]

세종조 회례연의, 사신연의

회례연은“예악(禮樂)에 의한 교화정치”의 일환으로  인군과 신하가 
서로 정과 뜻을 합하고자하는 군신통연(君臣通宴)의 의미이며, 
사신연은 나라와 나라 사이의 예로 사대교린을 위해 사신에게 베푸는 연회이다. 
악학궤범에 기록되어있는 세종 조 회례연의와 단종실록의 사신연의 기록을 바탕으로 
세종대왕의 문화예술에 대한 업적을 재조명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일시 : 2002년 6월 27일 (목) 오후 7:30
장소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주최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후원 : 문화관광부, 서울특별시 월간 Diplomacy, (사)궁중음식원, (사)한국차인연합회
협찬 : 삼성전자, (주)두산, (주)삼아무역, (주)옛기술과 문화
   
●축사 및 격려사
차범석( 대한민국예술원 회장)
이종덕( 세종문화회관 사장)
김종규( 삼성출판박물관 관장)
김재형(용의눈물·여인천하 연출가)

●특별출연
왕: 유동근(세종대왕)
왕세자 : 이민우
대신: 신동훈 (영의정)
대신: 최한호 (우의정)
대신: 김형일 (좌의정)

●주한 외국대사 특별출연 
2002 월드컵 경기를 맞아 이 시대의 외국 대사를 사신으로 대신하여 연회를 연출함.
자파 하킴 (모로코 대사)
주아니토 자라사 (필리핀 대사)
살레 알라지 (사우디아라비아 대사)
시드니 굽헤카 (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

●궁중무용 재현 작품
보태평, 정대업지무(保太平, 定大業之舞), 금척(金尺), 오양선(五羊仙), 무고(舞鼓)
아박무(牙拍舞), 봉래의(鳳來儀), 하성명(賀聖明), 수명명(受明命) 

제 2회 [궁중연회]

함녕전 내진연의

본 공연은 '고종황제' 의 보령 50세를 경하하기 위해 1901년(辛丑年) 9월 9일에 
함녕전에서 베풀어졌던 내진연을 재현하며, 국권이 쇠약해지는 위기 속에서 
대한제국이 자주국가임을 만방에 알리고 황실의 존엄과 문화를 국내, 외에 알리며, 
고종황제의 장수와 덕, 황실의 복록을 기원 하기위해 베풀어진 진연이다.

일시 : 2001년 9월 9일 (일요일) 늦은 3시
장소 : 덕수궁 함녕전
주최 : 한국전통문화연구원
후원 : 문화관광부, 문화재청, 궁중유물전시관, (사) 궁중음식연구원, 
협찬 : 세중여행사, (주)두산그룹, (주)온고지신

 

●축사 및 격려사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 
김천흥(중요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 '처용무' 보유자)

 

●특별출연
왕 - 전무송
왕비 - 전미선
왕세자 - 정태우
김형일, 김하균, 강윤중, 박근태, 신성철

 

●궁중무용 재현 작품
봉래의(鳳來儀), 헌선도(獻仙桃), 제수창(帝壽昌), 수연장(壽延長), 향령무(響鈴舞)
보상무(寶相舞),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육화대(六花隊), 검기무(劍器舞) 

제1회 [궁중연회]

순조 조 자경전 내진찬외

순조 조 자경전 내진찬의

자경전 내진찬’은 순조의 즉위 30주년과 보령 40세를 경하하기 위해서 1829년 2월12일 자경전에서 베풀었던 궁중연회이다. 본 공연은 조선조 궁중무악의 선열(先烈)이신 김창하(金昌河)선생이  2000년 11월의 문화인물로 지정된 것을 기념해 궁중 무,악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며 조선 후기의 궁중 예악의 예술성을 조명해 보기위해 최초로 ‘조선왕조 의궤’의 재현을 시도하였다. 

일시: 2000년 11월 15일 (수) 오후 7:00

장소: 문예회관 대극장

주최: 한국전통문화연구원

후원: 문화관광부, (사) 궁중음식연구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축사 및 격려사 

김한길(문화관광부 장관)

김천흥 (중요무형문화재 제 1호,39호 보유자)

 

●특별출연

왕: 최수종(순조), 왕세자: 김현국(효명세자)

왕세자빈: 김수진(세자빈), 김형일(종친), 김학철(척신) 

 

●궁중무용 재현 작품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헌선도(獻仙桃), 향발무(響鈸舞), 아박무(牙拍舞), 포구락(抛毬樂), 수연장지무(壽延長之舞), 하황은(荷皇恩), 무고(舞鼓), 연화대(蓮花臺), 검기무(劍器舞), 선유락(船遊樂), 오양선(五羊仙)